Be a great engineer27 [정보보안 공부] 암호화 방법의 기초 암호화 : 데이터를 어떤 규칙으로 변환하여 원래의 내용을 알 수 없게 하는 기술.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가 몇 나오기 때문에 설명하자면, 평문을 암호화하여 암호를 만들어 송신하면, 수신자는 암호를 다시 복호화하여 평문을 알게 된다. 즉, 송신 측은 암호키로 암호화를 하고 수신 측은 복호키로 복호를 한다. 암호화의 방식은 기본적으로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대칭키 암호화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복호화를 진행하는데, 이때 이 대칭키를 공통키라고 말하기도 한다. 비대칭키 암호화는 대칭키와 반대로 송수신자가 암호화, 복호화에 각각 사용하는 키가 달라서 비대칭키 암호화라고 하는데, 여기서 송수신자 이외에는 알 수 없기 때문에 비밀키 암호화라고도 한다... 2022. 6. 12.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9 시스템 구성의 종류 복수의 시스템을 합쳐 시스템 구성을 하는 이유는, 시스템 트러블을 대비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 또한, 트래픽이 집중될 경우, 부하를 분산하려는 목적도 있다. 手厚い(극진한, 융숭한) 대비를 하는 것 보다 코스트가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중요성에 따라 시스템 구성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듀얼(デュアル)시스템 시스템을 완전히 2중화하여,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평상시에는 두개의 계열에서 동일한 데이터처리를 하고, 결과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미리초단위) 대조(照合)해가며 처리를 진행한다. 듀플렉스(デュプレックス) 시스템 대기용장화방식(待機冗長化方式)이라고도 하는 시스템 구성이다. 평상시에는 주 시스템인 1개의 시스템에서(主系システム)에서 주요 업무를 하고, 나.. 2022. 5. 7.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8 자기(磁気) 디스크 액세스 시간 & 디스크 용량 계산 법 자기 디스크 액세스 시간 - 하드디스크 장치는 자기 헤드가 디스크 면에 이동하여 자성체의 자성의 방향을 바꾸어 데이터를 읽거나 쓴다. - 디스크는 항상 고속 회전 하고 있는 것을 의식하자 - 액세스 시간 = 제어 장치가 데이터 입출력 요구 ~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 까지의 시간 액세스 시간 = 평균 위치 결정 시간 + 평균 회전 대기 시간 + 데이터 전송 시간 평균 위치 결정 시간 - Seek 시간(シーク時間) 이라고도 말한다. - 액세스 암이 움직여 자기 헤드가 목적 데이터가 있는 트랙 위에 이동하기 까지의 시간. 평균 회전 대기 시간 - Search 시간 (サーチ時間)이라고도 말한다. - 목적 데이터가 자기 헤드의 바로 밑에 이동하기까지의 시간 - 평균 회전 대기 시간은 1/2 회전의 시간이다. .. 2022. 5. 3.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7 입출력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 주변 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가르킨다. - 공통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USB등의 복수의 버전이 존재하여 접촉 가능한 기기의 수나 최대 전송 속도가 달라지는 것도 있다. - 입출력 장치의 "접촉 형태"는 인터페이스의 규격으로 정해진다. * 접촉 형태? 입출력 장치를 본체나 접촉기기에 연결할 때의 형식 접촉형태 - 일반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따라 첩촉형태가 달라지지만, 복수의 접촉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스타 접촉(スター接続) - 1대의 버스에 복수의 입출력 장치 연결 Ex) USB - 여러버스를 계층적으로 배치하여, 트리 형태로 접촉 가능. - USB에서는 버스를 5대 (접촉하고 있는 장치 포함 6대)까지 가능하다. - 이.. 2022. 5. 3.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