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자격증3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5 캐쉬메모리 캐쉬메모리 (キャッシュメモリ) : CPU의 레지스터, 주기억 장치, 보조기억장 치는 모두 기억 장치이지만, 읽고 쓰는 속도에 큰 차이가 있어서, 속도가 빠른 쪽이 기다리는 경우가 생기고 효율이 나빠진다. 캐쉬메모리는 다양한 장치간의 속도 차를 메우기 위해 설치된 완충 기억 장치의 총칭으로, 효율을 더 높여준다. 캐쉬메모리의 구조 - 캐쉬메모리는 CPU와 주 기억 장치간의 완충 기억장치이다. 데이터를 찾을 때 캐쉬를 먼저 탐색하고, 캐쉬에 해당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주기억 장치를 탐색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여준다. (그래서 주기억 장치 전역을 액세스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오히려 효율이 낮아진다.) - 일반적으로 CPU의 모듈 내에 설치되어 있는데, 여러 개일 경우에는, CPU에 가까운 쪽 부터 1차 캐쉬, .. 2022. 5. 1.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3 메모리의 종류와 특성 ; RAM과 ROM의 차이와 종류 메모리의 종류 - RAM : 전원을 끄면 날아감. 휘발성(揮発性=きはつせい) - ROM : 전원을 꺼도 보존됨. 불휘발성(不揮発性=ふきはつせい) 한국에서는 비휘발성이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불휘발성이라고 한다. RAM - Random Access Memory - 데이터를 읽는 것과 쓰는 것이 가능한 기억장치로, ROM과 비교하여 고속. SRAM (Static RAM) - 1 회로에 1 비트를 기억하는 flip-flop회로(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로 구성되어 있다. - 회로가 복잡하고 대용량화는 어렵지만 읽고 쓰기가 빠르다. - 주로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대형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등에 이용된다. DRAM (Dynamic RAM) - 1 비트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メモリセル)이 콘덴서(コン.. 2022. 4. 24.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료구조(データ構造) 일본에서 많이들 따라고 권장하는 자격증 '기본정보기술자' 한국 정처기보다 내용이 어렵지 않아보이지만 (솔직히 일본인들 이 시험을 공부하고 보나 궁금하다.) 쓰는 용어들이 달라서 참고서 1회독해서 내용 파악을 해 둘 필요가 있어보인다. 1. 큐 (キュー) - 먼저 들어간 게 먼저 나옴. (교수님이 멘토스라고 설명했던 기억이 아직도 난다.) 일본어로 先入れ先出し, FIFO(First-In First-out) 두 용어 다 쓰는 것 같다. - enqueue(エンキュー) 큐에 격납(格納)하는 조작 - dequeue(デキュー) 큐에서 빼내는(取り出す) 조작 - 포인터 (ポインター) 맨 앞 데이터를 가르키는 front pointer & 맨 뒤 데이터를 가르키는 rear pointer 2. 스택 (スタック) - 먼저 .. 2022. 4.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