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 디스크 액세스 시간
- 하드디스크 장치는 자기 헤드가 디스크 면에 이동하여 자성체의 자성의 방향을 바꾸어 데이터를 읽거나 쓴다.
- 디스크는 항상 고속 회전 하고 있는 것을 의식하자
- 액세스 시간 = 제어 장치가 데이터 입출력 요구 ~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 까지의 시간
액세스 시간 = 평균 위치 결정 시간 + 평균 회전 대기 시간 + 데이터 전송 시간
- 평균 위치 결정 시간
- Seek 시간(シーク時間) 이라고도 말한다.
- 액세스 암이 움직여 자기 헤드가 목적 데이터가 있는 트랙 위에 이동하기 까지의 시간. - 평균 회전 대기 시간
- Search 시간 (サーチ時間)이라고도 말한다.
- 목적 데이터가 자기 헤드의 바로 밑에 이동하기까지의 시간
- 평균 회전 대기 시간은 1/2 회전의 시간이다. - 데이터 전송 시간.
- 목적 데이터가 자기 헤드 밑에 통과하여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가 개시됨.
- 모든 전송이 끝날 때 까지의 시간이다.
=> 데이터 전송 시간 = 전송 데이터 량 / 데이터 전송 속도
* 데이터 전송 속도 = 1트랙당 데이터 량 / 자기 디스크가 1 회전 하는 데 걸리는 속도
- 평균 위치 결정 시간
- 자기 디스크의 용량
- 최소 단위에서 곱해나간다.
- 여러장의 디스크가 내장되어 있으며, 자기 디스크상의 기억 단위는 작은 것 부터 섹터(セクタ), 트랙(トラック), 실린더(シリンダ)라는 개념이 있다.
- 프로그램 관점에서의 기억단위인 레코드(レコード)는 여러 레코드를 블럭으로 정리하여 섹터 상에 기억해 나간다.
- 그니까 소프트웨어는 섹터고 트랙이고 실린더고 알바가 아니고, 그 단위로 계산하지 않는다는 뜻. 프로그램은 그냥 레코드에 쭉쭉 써내려/읽어 갈 뿐.
- 디스크 전체 용량을 구할 때는 최소 단위의 섹터 용량부터 차례로 곱해나간다.
- 시험문제에서는 섹터 개념이 생략되기도 한다.
- 레코드를 기억하는 섹터 수나, 트랙 수를 구할 때는 각 단위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은 버려야 한다.
자기 디스크 용량
= 1섹터당 기억 용량 수 X 1 트랙당 섹터 수 X 1 실린더당 트랙 수 X 자기 디스크 전체의 실린더 수
'Japanese > 일본 기본 정보 기술자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9 시스템 구성의 종류 (0) | 2022.05.07 |
---|---|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7 입출력 인터페이스 (0) | 2022.05.03 |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6 입출력 장치와 버스 (0) | 2022.05.02 |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5 캐쉬메모리 (0) | 2022.05.01 |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4 메모리의 오류 검출 및 정정 (0) | 2022.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