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panese/일본 기본 정보 기술자 자격증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7 입출력 인터페이스

by 나리일 2022. 5. 3.
  1. 입출력 인터페이스
    : 주변 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가르킨다.
    - 공통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USB등의 복수의 버전이 존재하여 접촉 가능한 기기의 수나 최대 전송 속도가 달라지는 것도 있다.
    - 입출력 장치의 "접촉 형태"는 인터페이스의 규격으로 정해진다.
      * 접촉 형태? 입출력 장치를 본체나 접촉기기에 연결할 때의 형식
  2. 접촉형태
    - 일반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따라 첩촉형태가 달라지지만, 복수의 접촉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스타 접촉(スター接続)
      - 1대의 버스에 복수의 입출력 장치 연결 Ex) USB
      - 여러버스를 계층적으로 배치하여, 트리 형태로 접촉 가능.
      - USB에서는 버스를 5대 (접촉하고 있는 장치 포함 6대)까지 가능하다.
      - 이런 계층적 접촉 방법을 케스케이드 접촉(カスケード接続)이라고 한다.
    • 데이지 체인 접촉(デイジーチェーン接続)
      - 장치끼리 덩굴 형식으로 (芋づる式) 접촉하는 형태.
      Ex) IEEE 1394, Thunderbolt
    • 포인트 투 포인트 접촉 (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接続)
      - 컨트롤러와 장치를 1:1로 연결하는 형태.
      - 장치의 수 만큼이나 포트가 필요하다.
      Ex) 시리얼 ATA(シリアルATA)
  3. 입출력 인터페이스 규격 (入出力インタフェース規格)
    • USB 
      - 키보드나 마우스, 하드디스크, 프린터 등 다양한 기기의 접촉에 이용된다.
      - 허브에 따라 최대 127대의 기기가 연결이 가능하다.
      - USB 3.0에서는 최대속도 5Gbps, USB 3.1에서는 10Gbps.
      - USB커넥터의 규격에는 Type-A, Type-C(C타입), Mini-B, Micro-B(5핀)이 있다.
    • SATA (시리얼 ATA, シリアルATA)
      우리나라에서는 직렬 ATA라고 하는듯..?
      - 컴퓨터 내부의 주변기기 접속에 사용하는 고속 시리얼 전송 규격
      - 시리얼 ATA 3.0 규격 -> 6Gbps (유효속도 4.8 Gbps)
      - 각 디바이스는 호스트 컨트롤러에 대해 point to point (1대1) 접촉을 하는 것이 기본.
      - eSATA(External Serial ATA)는 시리얼 ATA를 외부 접속 기기에 이용하기 위한 규격
    • IEEE1394
      - 고속 시리얼 전송 규격으로 외부 하드디스크 장치와의 연결이나 디지털 비디오와 접속하여 동영상을 가져오는 (取り込み)것 등에 이용된다
      - 데이지 체인 접속에 의해 복수의 기기에 덩굴식으로 접속 가능
    • Tunderbolt
      -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접촉하는 것에 이용
      - 마찬가지로 데이지 체인 접촉에 의해 복수의 기기에 덩굴식으로 접촉 가능.
    • HDMI
      - 컴퓨터와 디스클레이 연결에 사용.
      - 한 개의 케이블로 영상과 음성 제어용 신호를 송수신 가능
      - 그 외에 오디오와 카메라, 영상 기기에 쓰인다.
    • Display Port
      - 디스플레이 장치와 컴퓨터/영상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촉 규격
      - HDMI와 동일하게 한 개의 케이블로 영상과 음성 입출력이 가능.
      - HDMI와 비교하여 용도는 한정되어 있으나, 규격상 성능이 좋다.
    • IrDA
      - 1m정도의 단거리 적외선 통신 규격
      - 통신 방향에 지향성이 있음 (한방향만 된다는 것. 옛날 폴더폰 적외선통신도 한 종류.)
      - 컴퓨터 주변기기, 휴대폰 단말 등 무선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 Bluetooth
      - 2.4GHz대의 전파를 이용하여 수~수십 미터를 상정한 단거리 무선 통신 규격
      - 와이어리스 마우스나 프린터,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이용되고 있다.
      - 저소비 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가 있다.
    • Zigbee(ジグビー)
      - 수십m 정도의 단거리 적외선 통신.
      - 블루투스에 비하여 저속이지만 소비전력이 낮고 접속 대수가 약 65000대 정도 가능.
      - 기기가 소형 전지로도 장기간 가동 가능하여 가정용 IoT등에 적합하다.
    • NFC (Near field radio communication)
      - RFID (무선통신에 의해 IC태그와의 정보교환을 하는 기술)에 포함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의 하나.
      - 접촉 거리를 10cm정도 게다가 복수의 규격이 있어서 비접총 IC카드로서 교통계 IC카드나 전자머니 카드, IC 운전면허증, IC태그 등에 이용된다. (NFC를 엄청 활용하고 있는 일본에 사는 사람은 확 와닿는 비유이지만 한국에서는 IC카드는 티머니나 교통카드 밖에 생각이 안날듯?)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