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panese15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1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 : 입력 장치, 출력 장치,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연산 장치, 보조기억장치 1. 레지스터의 종류와 용도 - CPU(프로세서)는 제어장치와 연산장치로 구성되어, 두 장치가 연계하여 움직입니다. - 레지스터(고속, 용량이 작음)를 사용해 프로그램의 명령 해독을 실시해 연산을 실행한다. - 각 레지스터의 역할은 정해져있고, 4가지 종류가 있다. 명령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수명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명령 해독기(命令解読器、命令デコーダ) : 읽어온 수명을 해독하여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 카운터(プログラムカウンタ) : 다음 실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한다. 프로그램 레지스터, 명령 어드레스 레지스터, 명령 카운터라고 한다. 어큐물레이터(アキュムレータ、類纂器) : 연산.. 2022. 4. 23.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재귀와 프로그램 구조 1. 재귀 - 리컬시브(リカーシブ) : 실행중에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성질을 가리키는 말로, 팩토리얼(階乗=かいじょう) 계산 등에 사용된다. - 시험에서는 함수f(n)를 구하는 문제가 나옴. -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쓸데없는 코드를 줄이고, 오류를 방지한다. - 함수를 이용해서 재귀를 처리한다. 코테 공부나 알고리즘 공부 하면서 재귀 문제 푼 사람들은 무리없이 풀만한 문제가 나올 것 같다. 역시 문제는 일본어 ^^ 2. 프로그램의 구조 - 출제율이 엄청 높지는 않지만 용어문제가 가끔 나온다. ① 재입가능 (歳入可能、reentrant) - 복수의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 - 내용이 변하는 데이터 부분과 내용이 변하지 않는 수속(手続き)부분이 분리되어있다. - 수속 부분은 복수의 프로세스에서 공.. 2022. 4. 22.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알고리즘과 순서도 ② 정렬(整列=せいれつ、ソート) 알고리즘 기본 선택법(基本選択法, 選択ソート) - 범위내에서 최소값(최대값)을 선택하여 제일 앞의 값(제일 뒤의 값)과 교환하는 방법을 반복한다 기본 삽입법(基本挿入法、挿入ソート) - 이미 정렬되어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위치에 새로운 요소를 삽입하는 방법을 반복한다. 개량 삽입법(改良挿入法、シェルソート) - 어떤 간격에서 요소를 제거한 부분열을 정렬하고 서서히 이 사이 간격을 좁혀서 gap=1이 된 곳에서 기정렬법으로 정렬을 하는 방법. (못알아 듣겠으니 그냥 내가 설명 : 소트값을 설정하고 그 간격으로 벌어져있는 두 값을 비교하여 정렬 -> 소트값을 줄여서 다시 정렬 -> 반복 ) 솔직히 그리 안중요한 것 같은데 못알아듣겠어서 그냥 정리해봤다. 출제율 보통이라고 나온다. .. 2022. 4. 21.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알고리즘과 순서도 ① 여기서 순서도란 流れ図를 번역한 것이다. ● 순서도 문제 푸는 법 ① 초기값을 확인 (0부터 시작하는 지, 1부터 시작하는 지) ② 루프의 조건판단 ③ 제어 변수의 갱신 ● 탐색 알고리즘 ① 선형탐색 (線形探索) ② 이분탐색 (2分探索) - 중앙에서부터 단락을 잘라서(区切って) 값을 좁혀나가는 방법. - 중간의 요소와 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좁혀나가, 목적 값에 도달하는 방법 - 전제조건 : 배열의 요소가 오름차순(昇順=しょうじゅん)/내림차순(降順=こうじゅん)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③ 해쉬탐색 (ハッシュ法探索) - 키 값을 해시함수(関数=関数)를 사용해 변환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 한번에 위치를 찾을 수 있지만, 효율성이 안좋다. - 서로 다른 키 값으로부터 같은 해쉬.. 2022.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