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panese/일본 기본 정보 기술자 자격증14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5 캐쉬메모리 캐쉬메모리 (キャッシュメモリ) : CPU의 레지스터, 주기억 장치, 보조기억장 치는 모두 기억 장치이지만, 읽고 쓰는 속도에 큰 차이가 있어서, 속도가 빠른 쪽이 기다리는 경우가 생기고 효율이 나빠진다. 캐쉬메모리는 다양한 장치간의 속도 차를 메우기 위해 설치된 완충 기억 장치의 총칭으로, 효율을 더 높여준다. 캐쉬메모리의 구조 - 캐쉬메모리는 CPU와 주 기억 장치간의 완충 기억장치이다. 데이터를 찾을 때 캐쉬를 먼저 탐색하고, 캐쉬에 해당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주기억 장치를 탐색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여준다. (그래서 주기억 장치 전역을 액세스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오히려 효율이 낮아진다.) - 일반적으로 CPU의 모듈 내에 설치되어 있는데, 여러 개일 경우에는, CPU에 가까운 쪽 부터 1차 캐쉬, .. 2022. 5. 1.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4 메모리의 오류 검출 및 정정 메모리의 오류 검출 및 정정 (メモリの誤り検出・訂正) - 주기억장치에 이용되는 SDRAM 등에는 데이터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이 있다. - 데이터를 기입할 때, 검사용 데이터를 보함하여 저장하여. 읽을 때 조회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오류를 검출한다. 패리티 체크(parity check, パリティチェック) - 체크용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 - 패리티 비트를 포험하여 1의 수가 짝수가 되게 하는 '짝수 패리티'(偶数パリティ)와 홀수가 되게 하는 '홀수 패리티'(奇数パリティ)가 있다. ECC (Error Correction Code) - 해밍 부호 (ハミング符号)를 통해 오류 검출/정정한다. - 패리티 체크보다 높은 신뢰도. 이 오류 검출 방식들에 대해 더 공부할 수 도.. 2022. 4. 24.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3 메모리의 종류와 특성 ; RAM과 ROM의 차이와 종류 메모리의 종류 - RAM : 전원을 끄면 날아감. 휘발성(揮発性=きはつせい) - ROM : 전원을 꺼도 보존됨. 불휘발성(不揮発性=ふきはつせい) 한국에서는 비휘발성이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불휘발성이라고 한다. RAM - Random Access Memory - 데이터를 읽는 것과 쓰는 것이 가능한 기억장치로, ROM과 비교하여 고속. SRAM (Static RAM) - 1 회로에 1 비트를 기억하는 flip-flop회로(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로 구성되어 있다. - 회로가 복잡하고 대용량화는 어렵지만 읽고 쓰기가 빠르다. - 주로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대형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등에 이용된다. DRAM (Dynamic RAM) - 1 비트를 기억하는 메모리 셀(メモリセル)이 콘덴서(コン.. 2022. 4. 24.
[일본 기본정보기술자 자격증] 2-2 CPU 성능과 고속화 CPU 성능 계산 - CPU 성능에 관한 문제는 다 계산문제임. - CPU 성능은 클럭 주파수(クロック周波数=しゅうはすう)에서 도출한다. - 클럭 : 컴퓨터의 기반에서 발생하는 신호. - 클럭 주파수 : 그 신호의 둘레, 파수(시간당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 CPU는 클럭에 동기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클럭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속으로 작동한다. - 다만 고속 성능이 요구되는 CPU는 베이스가 되는 클럭을 몇배 증폭시키므로, 실제로 주기억장치나 주변 기기가 동작하는 클럭과는 다르다. - MIPS (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 = 1초간 몇백만(10^6) 명령을 실행했는지 나타내는 단위. CPU 1초당 처리하는 명령 수 = CPU의 클럭 주파수 ÷ 명령 한 개당 평균 클럭 수 예.. 2022. 4. 23.